본문바로가기

중구문화원

상단메뉴

상단메뉴닫기
닫기

중구의 역사

개항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중구, 인천중구문화원


  1. HOME

문화재 이야기

능인교당신중탱화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문화재상세내용 :
보응·일섭, 〈인천 능인교당 신중탱화〉, 1922년, 비단에 채색, 108.5×110㎝,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능인교당.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신들, 즉 신중(神衆)을 그린 불화로 전각을 수호하는 기능을 한다. 화면 중앙의 위태천을 중심으로, 위쪽에는 범천과 제석천, 천녀, 동자, 성군 등이 있고, 아랫쪽에는 네 신중이 서 있다. 19세기의 복잡한 신중도에서 벗어나서 간략화에 성공한 작품이다.

문화재개요

  • 이칭별칭 : 능인교당 신중탱화
  • 유형 : 작품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성격 : 불화
  • 수량 : 1폭
  • 재질 : 비단
  • 작가 : 보응, 일섭
  • 지역(소장처·전승지) : 인천광역시 중구 용동 237 능인교당
  • 크기 : 세로 108.5㎝, 가로 110㎝
  • 소유자 :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인천포교당 능인사)
  • 관리자 : 능인사
  • 문화재 지정번호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 문화재 지정일 : 2009년 03월 02일
홍예문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

문화재상세내용 :
2002년 12월 23일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홍예문(虹霓門;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은 응봉산 산허리를 잘라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이다. 대한제국 시대에 철도 건설을 담당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 준공하였다.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는데 일본인들은 혈문(穴門)이라 불렀다. 공사를 진행할 때 예기치 못한 거대한 암석을 만나 공사 기간이 오래 걸렸다 한다. 당시 일본의 토목공법을 알 수 있는 사료로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문화재개요

  • 지정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 지정번호 :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
  • 지정일 : 2002년 12월 23일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20번지 외 4필지
  • 시 대 : 대한제국
  • 종류/분류 : 석문
용궁사 인천광역시지정문화재 제15호

문화재상세내용 :
문화재상세내용:용궁사는 영종도 백운산 기슭 평평한 대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백운사(白雲寺)라 하였다고 전하며 일명 구담사(瞿曇寺) 라고도 한다.
조선조 철종 5년(1854)에 흥선대원군이 중창하여 용궁사라 개칭하고 고종이 등극할 때까지 이 절에서 칩거하였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영종도 중산 월촌에 사는 윤공이란 어부가 꿈을 꾼뒤 바다에서 작은 옥불을 어망으로 끌어올려 이 절에 봉안하였다고 하며 현재 그 옥불은 없고 모조 옥불을 모시고 있다.

문화재개요

  • 지정번호 : 인천광역시지정문화재 제15호
  • 위 치 :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667
  • 시 대 : 조선철종5년(1854년)
  • 지정일 : 1990. 11. 9
답동성당 사적 제287호

문화재상세내용 :
프랑스 파리 외방 선교회 소속 빌렘신부가 초대 본당 신부로 부임하면서 답동 언덕에 설립되었다.
1890년 7월 성당 건축 정초식을 갖고 1894년 착공해서 1897년에 고딕식의 단층건물로 세워졌다.
현재 모양의 답동성당은 1933년에 옛 성당건물을 보존하면서 외벽을 벽돌로 쌓아올려 1937년에 완공한 성전으로, 로마네스크양식을 띠고있다. 중앙의 탑상부와 양측 소탑의 상부에 뾰족돔을 얹어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문화재개요

  • 사적 : 제287호
  • 위치 : 인천광역시 중구 우현로 50번길 2(답동)
  • 규모 및 구조 : 건평307.2평, 단층, 벽돌조
  • 시대 : 1933년 착공, 1937년 준공
  • 지정일 : 1981.9.25
팔미도등대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인천광역시 중구 팔미로 28]

문화재상세내용 :
팔미도 등대는 우리나라 최초의 등대로서 1902년 5월 소월미도 · 북장자서 · 백암등표와 함께 건축에 착수하여 1903년 4월에 준공되었으며, 같은 해 6월 1일 국내 최초로 점등되었다. 서남해에서 인천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위치하여 개항기 이래 서해 해상교통의 중심적 기능을 담당해 왔지만, 2003년 새로운 등대가 건립됨에 따라 더 이상 점등되지 않게 되었다.

문화재개요

  • 지정번호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 위 치 : 인천광역시 중구 팔미로 28(무의동)
  • 시 대 : 1903년 6월
  • 지정일 : 2002.2.4
용동큰우물 인천광역시민속문화재 제2호

문화재상세내용 :
1883년 인천 개항 무렵에 현재와 같은 우물로 조성된 것으로 전해진다.
원래는 자연 연못으로 물맛이 좋고 수량이 풍부하여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까지 인천 시민들의 식수로 사용되었으며, 광복 후 수도 사정이 좋지 않을 때에도 인천 시민들의 생활용수로 활용되었다.
우물의 크기는 지름 2.15m, 깊이 10m이고 우물 내부는 자연석과 가공된 돌을 둥글게 쌓아 만들었으며 지상에 노출된 윗부분은 원형의 콘크리트 관으로 마감하였다.
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1967년 기와지붕의 육각형 정자를 건립하였는데 현판은 인천 출신의 서예가 동정 박세림(朴世霖)이 썼다.
지정분류 시대 소재지 지정일
인천광역시민속문화재 제2호 조선 시대 인천 광역시 중구
우현로90번길 19-13
(인현동)
1996.6.1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