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간 열지 않음
본문바로가기
HOME
SITEMAP
CONTACT
상단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문화원소개
인사말
문화원 소개 및 연혁
조직 및 임원
문화원지원조례
찾아오시는 길
중구의 역사
중구의 상징물
중구의 지명
중구의 문화재
중구의 설화
알림/소식
공지사항
일정
타기관 소식
문화사업
문화사업
문화예술교육
문화원자료실
발간도서 및 홍보자료물
커뮤니티
Q&A
자유게시판
사진갤러리
일정
사이트맵
상단메뉴닫기
문화원소개
인사말
문화원 소개 및 연혁
조직 및 임원
문화원지원조례
찾아오시는 길
중구의 역사
중구의 상징물
중구의 지명
중구의 문화재
중구의 설화
알림/소식
공지사항
일정
타기관 소식
문화사업
문화사업
문화예술교육
문화원자료실
발간도서 및 홍보자료물
커뮤니티
Q&A
자유게시판
사진갤러리
닫기
이전
멈춤
다음
문화원자료실
오시는길
사진갤러리
채용공고
공지사항
2025년 제1차 인천중구문화원 기간제근로자 채용 공고
2025-01-02
MORE +
[2024 제물포 르네상스 AI 그림그리기 대회] 수상자발표 및 시상식 안내
2024-10-15
[제물포 르네상스 AI 그림그리기 대회] 연장접수!
2024-10-07
[제물포 르네상스 AI 그림그리기 대회] 참가자 모집
2024-09-24
문화사업
[2024 인문학으로 떠나는 중구 이야기] 3강 참여자 모집
[2024 인문학으로 떠나는 중구 이야기] 2강 참여자 모집
[2024 인문학으로 떠나는 중구 이야기] 1강 참여자 모집
문화예술교육
2025 문화학교 상반기 수강생 모집
2024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식물 관찰자 기록 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2024 인천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전시전시 展示傳時> 개최!
월간행사
월간행사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2
13
14
15
16
17
18
문화가 꽃피는 중구
발간도서
홍보인쇄물
[2024 생애주기별 꿈다락문화예술학교] '내마음속의콩나물' 결과자료집
중장년 작곡 프로그램 「내..
eBook
[2024 생애주기별 꿈다락문화예술학교] '끼니어가간다' 결과자료집
중장년 생활연극 프..
eBook
능인교당신중탱화
문화재상세내용:보응·일섭, 〈인천 능인교당 신중탱화〉, 1922년, 비단에 채색, 108.5×110㎝,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능인교당.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신들, 즉 신중(神衆)을 그린 불화로 전각을 수호하는 기능을 한다. 화면 중앙의 위태천을 중심으로, 위쪽에는 범천과 제석천, 천녀, 동자, 성군 등이 있고, 아랫쪽에는 네 신중이 서 있다. 19세기의 복잡한 신중도에서 벗어나서 간략화에 성공한 작품이다. 문화재개요: 이칭별칭/ 능인교당 신중탱화 유형/ 작품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성격/ 불화 수량/ 1폭 재질/ 비단 작가/ 보응, 일섭 지역(소장처·전승지)/ 인천광역시 중구 용동 237 능인교당 크기/ 세로 108.5㎝, 가로 110㎝ 소유자/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인천포교당 능인사) 관리자/ 능인사 문화재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1호 문화재 지정일/ 2009년 03월 02일)
용궁사
문화재상세내용:용궁사는 영종도 백운산 기슭 평평한 대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백운사(白雲寺)라 하였다고 전하며 일명 구담사(瞿曇寺) 라고도 한다. 조선조 철종 5년(1854)에 흥선대원군이 중창하여 용궁사라 개칭하고 고종이 등극할 때까지 이 절에서 칩거하였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영종도 중산 월촌에 사는 윤공이란 어부가 꿈을 꾼뒤 바다에서 작은 옥불을 어망으로 끌어올려 이 절에 봉안하였다고 하며 현재 그 옥불은 없고 모조 옥불을 모시고 있다. 문화재 개요: 지정번호 / 인천광역시지정문화재 제15호 위 치 /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667 시 대 / 조선철종5년(1854년) 지정일 / 1990. 11. 9
답동성당
문화재 상세 내용: 프랑스 파리 외방 선교회 소속 빌렘신부가 초대 본당 신부로 부임하면서 답동 언덕에 설립되었다. 1890년 7월 성당 건축 정초식을 갖고 1894년 착공해서 1897년에 고딕식의 단층건물로 세워졌다. 현재 모양의 답동성당은 1933년에 옛 성당건물을 보존하면서 외벽을 벽돌로 쌓아올려 1937년에 완공한 성전으로, 로마네스크양식을 띠고있다. 중앙의 탑상부와 양측 소탑의 상부에 뾰족돔을 얹어 아름다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문화재 개요: 사적/ 제287호 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우현로 50번길 2(답동) 규모 및 구조 / 건평307.2평, 단층, 벽돌조 시대 / 1933년 착공, 1937년 준공 지정일 / 1981.9.25
홍예문
문화재상세내용:2002년 12월 23일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인천 홍예문(虹霓門;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은 응봉산 산허리를 잘라 높이 약 13m, 폭 약 7m의 화강암 석축을 쌓고 터널처럼 만든 석문(石門)이다. 대한제국 시대에 철도 건설을 담당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 준공하였다.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늘자 만석동 방면으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이 홍예문을 뚫었는데 일본인들은 혈문(穴門)이라 불렀다. 공사를 진행할 때 예기치 못한 거대한 암석을 만나 공사 기간이 오래 걸렸다 한다. 당시 일본의 토목공법을 알 수 있는 사료로서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문화재개요: 지정종목/ 시도유형문화재 지정번호/ 인천유형문화재 제49호 지정일/ 2002년 12월 23일 소재지/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20번지 외 4필지 시 대/대한제국종류/분류/석문
이전
다음
새소식
자유게시판
Q&A(질의응답)
사진갤러리
[경기만 '갯벌어로'를 탐험하다] 1기 5회차 체험탐방
MORE +
중구의 상징물
중구의 지명
중구의 설화
중구의 문화재